'꼬꼬무'로 재조명된 형제복지원 사건, 박인근 일가의 충격적 현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인권 유린이자, 아직도 끝나지 않은 '그 사건'을 알고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며칠 전 늦은 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를 보다가 형제복지원 사건이 다시 나오는 걸 보고 말문이 막혔습니다. 어릴 적 부모님께 들었던 끔찍한 이야기가 실제였다는 걸, 그리고 그 가해자들이 지금도 떵떵거리며 잘 살고 있다는 사실이 참을 수 없이 분노를 자아냈어요.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그 당시의 진실부터 현재 박인근 일가의 놀라운 현실까지 낱낱이 파헤쳐보려고 합니다.
'꼬꼬무'가 다시 꺼낸 형제복지원 사건, 박인근 일가의 현재는?형제복지원 사건, 그 끔찍한 진실
"이 포스팅은 네이버 쇼핑 커넥트 활동의 일환으로,판매 발생 시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꼬꼬...
blog.naver.com
형제복지원, 거대한 인권 지옥의 시작
부산 남구 감만동. 겉보기엔 평범한 지역이지만, 그곳에 있던 형제복지원은 그야말로 인간 지옥이었습니다. 1975년부터 1987년까지 무려 12년 동안 약 4천 명 이상이 강제로 수용되었고, 그중 513명이 사망했다고 공식 집계되었죠.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숫자가 빙산의 일각이라고 말합니다. 단지 거리에서 "지저분해 보였다"는 이유로 납치되거나, 가족의 항의 한마디에 함께 끌려가는 일이 비일비재했으니까요.
공권력까지 가담한 납치와 감금
단순한 민간 복지시설이었을까요? 아니요. 형제복지원은 당시 부산시와 경찰, 지방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운영되었습니다. 그들은 명분을 "도시 정비"라고 포장했지만, 실제로는 올림픽을 앞두고 도시를 '깨끗하게' 보이게 하기 위한 가혹한 인권 탄압이었습니다.
가담 주체 | 행위 |
---|---|
부산시 및 시 공무원 | 예산 지원 및 행정 비호 |
경찰 | 시민 무차별 납치 및 감금 |
정부 | ‘사회정화’ 명목으로 수용 정당화 |
내부 고발과 은폐된 진실
진실은 의외의 곳에서 드러났습니다. 당시 부산지검 울산지청
소속 김용원 검사가 형제복지원의 실체를 우연히 목격한 것이죠. 이후 그는 목숨을 건 수사를 진행했지만,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정부와 검찰은 이를 ‘사회 정화’라며 정당화했고, 박인근은 고작 횡령과 건축법 위반 혐의로 2년 6개월 형을 받았을 뿐이었습니다.
- 김용원 검사의 목격과 수사 착수
- 형제복지원 내부자들의 증언
- 검찰 수사 결과의 왜곡
- 정권 차원의 사건 축소 및 무죄 판결
박인근 일가, 수천억 원의 재산 실태
믿기 힘든 사실이지만, 박인근은 이 끔찍한 시설을 운영하면서 막대한 부를 쌓았습니다. 그는 복지사업 명목으로 정부 보조금과 종교계, 지자체 후원을 받아 1000억 원이 넘는 재산을 모았다고 알려졌습니다. 형제복지원 해산 이후에도 그 재산은 사라지지 않았고, 오히려 이름을 바꾸며 다른 시설로 유지되고 있었죠.
재산 항목 | 세부 내용 |
---|---|
호주 골프장 | 수백억 원 규모의 대형 스포츠 시설 운영 |
부산 내 부동산 | 장림동 헬스센터, 괘법동 해수온천 등 |
사회복지시설 | ‘실로암의 집’, ‘욥의 마을’, ‘느헤미야’ 등 |
기타 | 온천, 임대업, 무허가 종교시설 등 |
여전히 건재한 박씨 일가의 복지 재벌
박인근 사망 후에도 그 자리를 셋째 아들 박천광이 물려받았고, 이후에도 사위들과 기타 가족들이 복지사업을 빙자한 각종 운영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비록 일부는 처벌을 받았지만, 재산 대부분은 여전히 회수되지 않은 채 남아있습니다.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듯 말이죠.
- 박천광: ‘실로암의 집’ 운영, 횡령 혐의 유죄
- 사위들: 요양병원, 정신과 병원 운영
- 기타 가족: 헬스센터, 온천, 부동산 임대 등 영리 사업
big_sale_forsafe | 인포크링크
big_sale_forsafe님의 링크페이지를 구경해보세요 👀
link.inpock.co.kr
형제복지원은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운영되었던 부랑인 수용소로, 실질적으로는 강제감금과 인권 유린의 장소였습니다.
단순 보호시설이 아닌, 무고한 시민들이 구타, 성폭행, 강제노역, 심지어 암매장까지 당한 끔찍한 장소였습니다.
전두환 정권의 정치적 목적과 도시 미관 정비라는 명분 아래, 사회 정화 정책으로 포장되었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입김과 언론 통제, 검찰 수사의 축소로 인해 진실은 오랫동안 숨겨졌습니다.
형식적으로는 법적 근거가 부족했고, 실질적으로는 정권의 보호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살인이나 감금은 기소조차 되지 않았고, 형량도 고작 2년 6개월이었습니다.
복지사업 명목의 법인, 병원, 헬스센터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며 활동 중입니다.
이름만 바꾼 채 복지시설을 운영하며, 사회적 비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건 당시 왜곡된 수사를 바로잡고,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과 보상을 위한 법적 근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실질적인 보상과 재수사, 그리고 역사적 진실을 위해 특별법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권력의 남용, 제도의 맹점을 반복하지 않도록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
사회적 약자를 지키지 못한 결과가 어떤 비극을 낳는지를 기억하고, 더 이상 침묵하지 말아야 합니다.
형제복지원 사건은 단지 과거의 비극이 아닙니다. 오늘날에도 유사한 형태의 인권 침해는 여전히 일어날 수 있고, 우리가 그걸 막지 않는다면 또 다른 ‘형제복지원’은 언제든 생겨날 수 있습니다. 여러분, 이 글을 읽고 마음속에 무언가 울림이 있었다면, 한 줄의 댓글이라도 좋으니 함께 이야기 나눠주세요. 피해자들에게는 아직도 우리의 관심이 절실합니다.
가덕도 신공항, 왜 멈췄을까? 현대건설·포스코이앤씨 이탈과 사업 위기 - 뚜꾸한 정보3
가덕도 신공항 사업은 추진될까?
www.safetyddu.com
'새 박사' 윤무부 교수, 하늘로 날아오르다…향년 84세 - 뚜꾸한 정보3
'새 박사' 윤무부 교수, 하늘로 날아오르다…향년 84세
www.safetyddu.com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 알아보기 (점검표 다운로드) - 뚜꾸한 정보3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 알아보기 (점검표 다운로드)
www.safetyddu.com
노동부 장관 20대 건설사 CEO간담회서 경고 - 뚜꾸한 정보3
노동부 장관 20대 건설사 CEO간담회서 경고
www.safetydd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