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9

한국 건설근로자 사고 사망률, OECD 10대국 중 몇위? 한국 건설근로자 사고 사망률, OECD 10대국의 2배 현실영국의 6.6배, OECD 평균의 2배. 한국 건설업 안전 현실,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여러분, 여름 한가운데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 일하던 어느 날, 안전모 너머로 흘러내리는 땀을 닦으며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우리 건설현장은 이렇게 위험할까?’ 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를 보고는 가슴이 턱 막히더군요. OECD 경제 10대국 중 건설근로자 사고 사망률이 가장 높다니… 게다가 평균보다 2배나 높다니, 이건 그냥 통계가 아니라 우리 친구, 이웃, 가족의 이야기일지도 모릅니다.OECD 10대국 건설근로자 사망률 비교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건설업 사고 사망률은 1만 명당 1.59명으로.. 2025. 8. 15.
고용노동부 장관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 참석기업 및 간담회 내용 재해 반복 기업 강력 제재…고용노동부 장관, 20대 건설사 CEO 긴급 경고“안전하지 않으면 작업하지 않겠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시공능력 상위 20대 건설사 CEO들을 불러 모아 전한 단호한 메시지입니다. 반복되는 중대재해를 끊기 위한 정부의 강경 기조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8월 14일, 고용노동부 장관과 국내 주요 건설사 CEO 간 긴급 간담회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최근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잇단 사망사고로 정부가 전방위 압박에 나선 가운데, 이번 회의에서는 건설면허 취소·입찰 제한·과징금 강화 등 초강력 제재 방안이 직접 경고되었습니다. 이 자리에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GS건설,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등 국내 주요 건설사.. 2025. 8. 14.
공기업 중대재해 1호 사건, 석탄공사 전 사장 무죄 판결의 의미는? 공기업 중대재해 1호 사건, 석탄공사 전 사장 무죄 판결의 의미는?“중대재해처벌법 1호 기소”라 불린 석탄공사 사망 사고, 결국 무죄로 끝났다? 그 이유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안녕하세요, 최근 뉴스 보면서 유독 마음이 무거웠던 날이었어요. 바로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 사고’에 대한 1심 판결 소식 때문인데요.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된 첫 공기업 사례였던 만큼 저도 관심을 갖고 지켜봤었는데, 예상치 못한 '무죄'라는 결과가 나와 놀라기도 했고, 솔직히 여러 감정이 들더라고요. 이번 글에서는 이 판결이 가지는 의미와 배경, 우리가 주목해야 할 포인트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법과 안전, 책임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일이 왜 이렇게 어려운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해요. 사건 개요: 장성광업소 죽탄 사.. 2025. 8. 14.
안전한 일터프로젝트 알아보기(점검표 및 중점관리사항) 지금 우리가 바꿔야 할, 일터의 상식"당연하다고 여겼던 그 위험, 이제는 멈춰야 할 때입니다."안녕하세요, 요즘 뉴스를 보면 산업 현장에서 또 안타까운 사고가 났다는 보도가 너무 자주 들리죠. 솔직히 말해서, 저도 회사 다니면서 늘 안전화를 신는 것 자체가 ‘당연한 일’이라고만 생각했어요. 근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왜 내가 안전을 위해 늘 조심해야만 하지? 시스템은 왜 그걸 당연하게 만들었지?” 그 의문이, 오늘 이 글의 시작이 됐습니다. 지금 우리가 너무 익숙하게 받아들이는 일터의 ‘상식들’, 이제는 한번쯤 의심해봐야 하지 않을까요?왜 지금, 안전한 일터가 중요한가?2024년,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은 사람만 800명이 넘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놀라운 건 그중 70% 이상이 중소기업 .. 2025. 8. 14.
반응형